임신 중 알아야 할 것

임신 중 생선은 얼마나 해로운가?

다린이아빠 2014. 11. 22. 20:12

 

오늘은 임신 중 알아야 될 것 2번째로 임신 중 생선 섭취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참고로 아래 글들은 미국의 가이드 라인을 많이 참조하여 생선 이름이 우리나라와는 다를 수 있습니다.


가급적 해석을 하였으나 혹시 몰라서 원어도 그대로 실었습니다 


 

임신부들에게 생선이 좋지 않을 수도 있다는 이야기는 사실 꽤 알려진 사실입니다. 


실제로 미국의 FDA 에서는 임신부들의 생선 섭취 가이드 가 있습니다.

 

생선이 임신부에게 해로울 수 있는 이유는 바로 수은 때문입니다.

 

더 정확히 말씀드리면 수은 중 메틸수은 때문인데 이 메틸수은은 성장 장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특히 이 메틸 수은은 태아의 대뇌 조직에 가장 민감하여  신경계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머리가 나빠질 수 있습니다 )

 

참고로 수은은 유기수은 (organic mercury ) 와 무기수은 (inorganic mercury) 로 나뉘는 데 유기수은이 몸에 해롭습니다.


메틸 수은은 유기수은에 해당되는 데 이게 태반을 통과할 수 있고 태아의 두뇌 성장에 방해가 됩니다.

 

반면 이름만 봐서는 더 위험할 것 같은 터미네이터에 나오는 무기수은 ( 보통 금속 수은 )은 사실 덜 위험한 데 


실제 치료 영역에서도 쓰입니다.




   --> 터미네이터의 수은.. 금속 수은이라 이 자체로는 괜찮지만 열을 받아서 기화되면 위험하니 영화에서 처럼 폭팔물 근처에 수은이 발견 된 경우 접근하지 않도록 합니다.




                                    --> 기화되서 해로운 것 말고도 이런 넘이 나타날 수도 있으니 수은은 더 조심




치과 치료제인 아말감에 쓰이기도 하고 과거에는 장중첩증이 있는 아기에게 먹이기도 했습니다


물론 먹더라도 위장관으로 흡수가 되지 않지만 ( 위의 예 처럼 ) 태우거나 바이러스에 의해 유기수은으로 변하기도 합니다.

 

모든 어패류들은 이런 수은 물질을 함유하며 먹이사슬에서 위로 올라갈 수록 배출이 되지 않으므로-  작은 놈을 먹은 큰 물고기의  수은 함량이 증가되고 결국 큰 물고기에서는 수은의 함량이 가장 높게 됩니다.

 

이런 큰 포식자 물고기를 임신부가 먹을 경우 결국 수은을 많이 섭취하는 셈이 되고 결국 한참 자라나는 태아의 두뇌 발달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것입니다.

 

( 참고로  물고기에는 메틸수은 말고도 폴리염화비페닐, 다이옥신 등 다른 오염 물질도 많습니다. 이 메틸 수은의 경우는 우리 몸의 어떤 어떤 세포도 통과 할 수 있고 안타깝게도 수은은 다른 공해 물질이 물고기의 지방에 많은 것과는 달리 물고기 체내에 꽉 붙어있으므로 익히거나 혹은 어떤 식으로 요리를 하여도 분리시키지 어렵다고 합니다 )

 

따라서 물고기 수은에 관한 이런 문제는 사실  태아 뿐 아니라 한참 자라고 있는 어린이들에게도 해당될 수 있는 이야기입니다.

 

 2004년 미국의 FDA 에서는 임신부의 수은 노출을 염려하여 임신부는 일주일에 340 g 이하의 수산물 ( seafood 입니다 fish 가 아니라 ) 을 섭취 할 것을 권고하였습니다. 물론 여기에는 임신이 가능한 여성과 모유 수유 산모도 포함되었습니다.

 

 

 

 

 

미국에서 임신부에게 수은에 대한 걱정은 몹시 대단해서 실제로 임신부들의  해산물 섭취량은 감소하고 있습니다.

( 우리나라도 조금 영향을 받는 듯 )  


최근 보고에 따르면 21%의 산모들이 임신 중 생선을 전혀 먹지 않았다고 했고 75%는 한 주에 4온즈 (  120그람 ) 미만으로 생선을 먹었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여기 우리가 간과하고 있는  또 하나의 중요한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영양 문제입니다.

 

생선은 그 자체로서 포화 지방이 낮고 단백질 함량이 높은 건강 식품입니다. 실제로 생선은 우리가 매일 광고에서 그렇게 중요하다고 보는 오메가 3 지방산의 주요 공급원이기도 합니다.

 

( 우리가 흔히 오메가 3- 쓰리- 라고 부르는 것의 정확한 의미는 omega -3 fatty acid  그러니까 오메가 3 지방산이 정확한 표기입니다. 오메가 3 에는 2가지 종류의 중요한 영양분으로 나뉘어져 있는 데 바로 한번 쯤은 다 들어보셨을docosahexaenoic acid (DHA) 와   eicosapentaenoic acid (EPA)가 있습니다.)

 

특히 DHA 는 산과의사 뿐 아니라 소아과 의사들에게도 초기 대뇌 발달과 연관이 있다고 생각되어지기 때문에 중요시 되고 있습니다.

 

DHA 는 대뇌 신경계 그리고 눈의 중요한 구성 물질인데  임신 전 혹은 분만 후 생선 섭취는 그들의 자녀의 대뇌 성장 발달과 인지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게다가 생선 혹은 생선 기름 ( fish oil ) 의 섭취는 조기 진통을 막아 줄 수 있기 때문에 신생아 출생 시 가장 문제가 되는 신생아의 저체중 출생을 예방 할 수 있게 합니다.

 

게다가 아직까지는 정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DHA  EPA 모두 임신성 당뇨나 임신성 고혈압 혹은 신생아의 아토피를 감소 시킬 수도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임신부가 생선 섭취를 안 하면 태아의 수은 농도 감소에는 도움이 될 수도 있겠으나 뭔가 태아의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중요한 영양분 섭취를 놓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여기 중요한 연구가 있습니다.

 

2007 Lancet 에 발표된 연구인데 (Maternal seafood consumption in pregnancy and neurodevelopmental outcomes in childhood)

 

라는 연구인데 놀랍게도 11000명 이상을 그것도 전향적으로 연구하였습니다.(참 정말로 부럽습니다)

 

( 조금 논점을 벗어나는 데 옛날에 논문을 쓰느라고 각 나라별 사람들의 수은 농도를 비교한 적이 있었는데 물고기를 많이 먹는 섬 나라에서 확실히 수은 농도가 높았습니다.

 

문제는 이렇게 수은 농도가 높은 경우 과연 아이들의 IQ 가 낮은가? 


하는 것이 문제였는데 진짜로 한 섬의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IQ test를 해서 비교를 하였는데

 

사실 이런 문제는 참 어렵다는 것 것입니다.



실제로 각 연구마다 생선 섭취와 IQ 와는 관련이 있다 없다 참 다양하게 나왔습니다.)

 

 

결론적으로 이야기 하면 이 대규모 연구에서 여기서는 산모가 수산물을 많이 섭취할 수록 자녀의 발달에 도움이 되었다고 합니다.

 

오히려 임신 중  FDA  권고안 대로 주당 340그람 이하로 수산물을 먹은 산모의 자녀의 경우 언어 영역에서의 IQ 가 낮았다고 합니다.

 

생선을 통해 오메가-3를 많이 섭취한 산모에서 verbal IQ 가 더 좋았습니다.

 

 

 

그래서 2014 FDA 에서는 새로운 권고안을 내 놓았습니다. 일주일에 340그람 이하를 먹으라고 했었던 권고안은 없어지고 이제 임신부는 옥돔(tilefish from gulf of Mexico) , 상어 ( shark ), 황새치 (swordfish), 킹 고등어 ( king mackerel) 같은 수은이 높은 생선만 먹지 않으면 안 됩니다


여기서는 또 일주일에 참치의 일종인  날개다랑어(white albacore) 6온스 미만으로 제한 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fish_consumption.png

  --> 2014년의 새로운 FDA 권고 사항입니다여기서는 한 주에 8-12 온스의 다양한 생선을 먹을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수은이 높은 생선은 피할 것을 말하고 있습니다


사실 이러한 사실은 조금 혼란스러운데 왜냐하면 12온스는 340그람입니다


모호하게 적어 놓기는 했지만 아무튼 중요한 점은 생선을 제한 하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섭취하라는 점인 것 같습니다.

  

 

 

여기 재미있는 연구 결과가 있는 데 임신중 혹은 수유중 오메가 3가 포함된 약의 복용 – DHA or fish oil supplements생선을 직접 먹는 것이 아니라- 이 얼마나  태아에 도움이 될까? 하는 연구를 분석한 논문 (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2012, 27개의 논문을 분석하였슴)이 있습니다.


 암튼 어떤 연구에서는 임신 중 혹은 모유수유 시 이런 약들이 태아의 시력이나 신경발달에 도움이 되었다고 보고하였지만 될 것이라고 말했지만 그 결과는 상당히 제한적이었고 대부분 연구에서 압도적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고 합니다


적어도 오메가 -3의 경우에는 약의 복용보다는 음식 - 생선-이 좋은 것 같습니다. 

( 가격도 약이 훨씬 더 비싸지요 )

 

 

참고로 DHA 가 높고 수은이 낮은 수산물로는 아틀란틱 청어, 아틀란틱 고등어, mussels(홍합), oysters(), farmed and wild salmon( 양식 혹은 자연산 연어), sardines( 정어리), snapper(도미), trout(송어) 등이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수은 농도가 낮으면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생선으로는 새우, 연어 , 대구 ( Pollock), 틸라피아(tilapia), cod ( 대구 ), 메기 ( catfish ) 등이 있습니다.

 

이런 생선만으로  FDA 가이드 라인대로 일주일에 12온스만  먹는 다면 사실 적정량의 DHA이 공급 될 수 없습니다.

 

그런 이유로 어떤 사람들은 임신 중 생선을 더 먹을 것을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참치를 많이 먹는 데 특히 참치 캔을 많이 먹습니다.


참치 캔의 경우 2가지가 있는 데


1. White tuna - 얘는 albacore ( 날개 다랑어 ) 로 만듭니다. 위의 표에 3번에 해당 됩니다. 좋지 않습니다.


2. Light tuna - 얘는 skipjack ( 가다랑어) 로 만드는 데 white tuna 보다 덜 해롭다고 합니다.


참치를 먹고 싶다면 2번을 드시고 이왕이면 연어 통조림을 먹는 게 좋다고 합니다.


크기도 albacore 가 더 크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시판되는 동원 참치의 경우 제가 살펴 보았는 데 그냥 다랑어라고만 나와있지 어떤 것인 지는 잘 모르겠네요

( 혹시 아시는 분 있으면 알려 주세요 )


참치 회의 경우 통조림에 쓰이는 참치보다 일반적으로 더 큰 것을 쓰기 때문에 수은 함량이 더 높다고 합니다.

 

 

 

결론적으로  임신 시  수은이 높은 물고기 상어, 옥돔, 킹 고등어, 황새치등 - 는 피해야 됩니다. 하지만 오메가-3 지방산은 태아의 두뇌 성장 발달에 필수적고 이런 이유 때문에 생선 섭취를 해야만 합니다 . 그러므로 막연한 두려움에 임신부가 생선 섭취를 완전히 금지하는 것은 옳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DHA 가 들은 약의 복용은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이런 약의 복용이 생선 섭취 자체를 대신 할 수는 없다는 것을 알아둡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