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과 수유 중 약물 복용

임산부를 위한 의약품 분류표 ( Demystifying Drug Categories )

다린이아빠 2009. 12. 5. 12:08

혹시 책이나 안내서에 임산부를 위한 의약품 분류표를 보셨는 지 모르겠습니다

A, B, C, D, X 로 5 가지로 나누었는데  미국의  FDA 라고 우리나라의 식약청 같은 곳에서

만든 것입니다.

 

물으시는 분이 많아서 소개 합니다.

 

그러나 아래에서도 이야기 하겠지만 절대적인 것은 아니니 결정을 내릴 때는

꼭 산부인과 의사와 상담하십시오

 

Category

A 관리된 연구에서 위험을 보이지 않는 약 ( Controlled studies show no risk )

 

태아에게 위험하지 않은 약

관리된 연구 ( controlled study )에서 위험을 보이지 않는 약. 임신한 여성의 적절하고 잘 조절된 연구( well controlled study )에서 태아의 위험을 증명하는 데 실패한 약

) 비타민 C, 신시로이드 ( 갑상선 약 )

    해당되는 약이 별로 없습니다.

 

B 태아에게 위험의 증거가 없는 약 ( No evidence of risk in human )

 

인간에게 위험의 증거가 없는 약. 동물 실험에서 위험이 발견 되었으나 사람의 태아에서는 위험이 발견되지 않았거나 혹은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없으나 동물 실험에서 위험이 발견 되지 않은 약

) 타이레놀, 페니실린 항생제 등

     이것 역시 별로 해당되는 약이 없습니다

 

C 위험을 배제 시킬 수 없는 약. ( Risk cannot be ruled out )

 

사람 실험 결과는 부족하거나 동물 실험에서는 동물의 태아에게 위험하거나 이것 역시 위험 여부를 확실히 밝힐 수 없는 약. 그러나 약의 사용이 잠재적 이득이 잠재적 위험을 정당화 시킴

 

) 대부분의 약 타미플루 포함 감기약 기타 등등

 

D 위험이 있는 약. ( Positive evidence of risk )

시험적 실험이나 실제 실험에서 태아에게 위험이 있는 약. 그럼에도 불구하고 잠재적 이득이 잠재적 위험 보다 큰 약

 

) 간질약 약을 먹어서 태아에게 생기는 위험보다 간질이 산모나 태아에게 위험하기 때문에 그래도 쓴다

 

X 임신 중 사용이 금지 된 약. ( Contraindication in pregnancy )

 동물에서나 사람에서나 혹은 시험에서 나 시장에서의 반응이 환자에게 가능한 이득보다 태아에 대한 위험이 큰 약들

사용하면 안 된다

 

) 살리도마이드, 여드름 치료제 ( isotretinoin), 피임약 등등

 

 

A 부터 X 까지 순서대로 위험하지만 임신 주수에 따라서도 그 위험이 달라 질 수 있습니다.

또 약 별로 실제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카테고리만 볼 것 이 아니라 약전을 잘 보고 결정을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먹는 피임약은 비록 카테고리 X 이지만 부주의하게 그냥 노출 된 경우 기형의 위험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니 일반인이나 혹은 산부인과 전문의가 아닌 경우 상담을 잘 해서 유산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